728x90 분류 전체보기96 [프로그래머스] 귤 고르기 - 자바 크기가 여러개인 귤 중 k개 만큼의 귤을 골라야 하는데 크기가 서로 다른 종류의 수를 최소로 하고 싶다는 문제 처음에는 무슨 말인가.... 했는데 예시를 보면 이해가 잘 된다. k = 6 tangerine = [1, 3, 2, 5, 4, 5, 2, 3] 표로 정리해 보면 크기 개수 1 1 2 2 3 2 4 1 5 2 이 중 6개를 고르려면 개수가 2개인 2, 3, 5 크기를 고르면 될 것이다. 그래서 답이 3인 것 이것은 크기 보다 개수가 중요한 것~! 그래서 우선은 개수를 알기 위해 크기별 개수를 먼저 구해주었다. 로 저장할 HashMap을 만들어 준 후 tangerine 배열에서 가져온 귤 크기를 key로 검색한 value를 +1 해서 저장 (물론 없을 수도 있으니 없으면 0으로 검색) HashMap.. 2023. 6. 30. ORACLE 숫자 함수 ROUND (반올림) ROUND(123.456) = ROUND(123.456, 0) = 123 ROUND(123.456, 1) = 123.5 ROUND(123.456, -1) = 120 TRUNC (버림) TRUNC(123.456) = TRUNC(123.456, 0) = 123 TRUNC(123.456, 1) = 123.4 TRUNC(123.456, -1) = 120 괄호 안에 숫자는 (표현할 숫자, 자리수)로 표현되며 양수, 음수 모두 표현 가능하다. 자리수가 0일 때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 또는 버림하여 정수가 된다. 양수는 소수점 자리수 음수는 숫자의 자리수를 나타낸다. 2023. 6. 22. [프로그래머스 SQL] 입양 시각 구하기(2) 입양 시각 구하기(1) 입양 시각 구하기(1)은 쉽게 했던것 같은데 입양 시각 구하기(2)를 1처럼 풀었다가 틀려서 당황했다..! 무엇이 다르길래 Lv.2에서 Lv.4로 뛰었냐면?! 입양 시각 구하기(2) 예시가 기이이일어졌다 입양된 내역이 없는 시간도 보여줘야한다는 조건이 생겼기 때문..! 이것을 표현하기 위해 ORACLE ORACLE 에서는 계층데이터를 위해 CONNECT BY 절을 지원 SELECT LEVEL-1 HOUR FROM DUAL CONNECT BY LEVEL 2023. 6. 21. Stack, Queue, Array, Linked List 스택(Stack) 후입선출(LIFO: Last-In-First-Out) 방식 데이터를 삽입(push)하고 삭제(pop)할 때 가장 최근에 삽입된 데이터가 먼저 삭제됩니다. → 한쪽 끝에서만 데이터를 삽입하고 삭제 예시: 웹 브라우저의 뒤로 가기 기능, 함수 호출 시 로컬 변수와 복귀 주소 저장 등 큐(Queue) 선입선출(FIFO: First-In-First-Out) 방식 데이터를 삽입(enqueue)하고 삭제(dequeue)할 때 가장 먼저 삽입된 데이터가 먼저 삭제됩니다. → 한쪽 끝에서 데이터를 삽입하고, 반대쪽 끝에서 데이터를 삭제 예시: 작업 큐, 메시지 큐, 버퍼 등 배열(Array) 일정한 크기의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인덱스를 사용하여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데이.. 2023. 6. 8. 이전 1 ··· 3 4 5 6 7 8 9 ··· 24 다음 728x90